IEEE 802.2: 논리 링크 제어 (Logical Link Control)

IEEE 802.2의 주요 기능

IEEE 802.2는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고 관리하기 위한 여러 가지 중요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.

논리 링크 제어(LLC)의 역할

  •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여 충돌을 방지하고 네트워크 성능을 최적화
  • 오류 검출 및 복구 기능을 제공하여 신뢰성을 보장
  • 상위 계층(네트워크 계층)과 하위 계층(MAC) 간의 통신을 지원

LLC 프레임 구조

LLC 프레임은 다음과 같은 필드로 구성됩니다:

  • DSAP (Destination Service Access Point, 목적지 서비스 접근점): 수신 측의 네트워크 서비스 지점을 식별
  • SSAP (Source Service Access Point, 송신 서비스 접근점): 발신 측의 네트워크 서비스 지점을 식별
  • Control 필드: 데이터 전송의 흐름과 오류 제어를 담당
  • 정보 필드: 실제 전송되는 데이터(payload)

LLC 운영 모드

IEEE 802.2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세 가지 주요 운영 모드를 제공합니다:

  1. 비연결형 비확인 모드 (Unacknowledged Connectionless Mode, ULM)
    • 가장 간단한 전송 방식으로, 데이터의 전송 및 수신 확인 절차 없이 데이터를 전송
    • 빠른 통신이 필요하지만 신뢰성이 낮아도 되는 환경에서 사용 (예: 스트리밍 서비스)
  2. 연결형 확인 모드 (Connection-Oriented Mode, COM)
    • 연결을 설정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하며, 수신 측에서 데이터를 확인하고 응답을 반환
    • 신뢰성이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됨 (예: 파일 전송, 금융 거래)
  3. 비연결형 확인 모드 (Acknowledged Connectionless Mode, ACM)
    • 연결을 설정하지 않지만,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확인
    • 무선 네트워크 및 비정상적인 연결 환경에서 신뢰성을 높이는 데 유용
openSUSE의 세계에 빠져들다 👆

IEEE 802.2의 중요성

IEEE 802.2는 네트워크의 데이터 흐름을 관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, 다양한 네트워크 기술과 호환성을 제공합니다. 주요 중요성은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네트워크 계층과의 인터페이스 제공: OSI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과 상위 계층 간의 원활한 연결을 지원
  • 다양한 LAN 기술 지원: 이더넷, 토큰 링, FDDI 등의 다양한 LAN 프로토콜에서 사용 가능
  •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: 오류 검출 및 흐름 제어 기능을 통해 안정적인 네트워크 환경 구축
Ubuntu에서의 소프트웨어 설치 방법 👆

결론

IEEE 802.2는 네트워크의 논리 링크 계층을 담당하며,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높이고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안정적인 연결을 제공합니다. 이 표준은 오늘날에도 네트워크 프로토콜 스택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남아 있으며, 특히 안정성과 신뢰성이 요구되는 환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.

Ubuntu로 시작하는 리눅스 여정 👆
0 0 votes
Article Rating
Subscribe
Notify of
guest
0 Comments
Oldest
Newest Most Voted
Inline Feedbacks
View all comments